- 전라북도
- 군산시
- 익산시
- 정읍시
- 남원시
- 김제시
- 완주군
- 진안군
- 무주군
- 장수군
- 임실군
- 순창군
- 고창군
- 부안군
농림축산식품부
정착 지원
귀농 창업자금 융자 지원
거주 지원
귀농인의 주택 신축·구입 융자 지원
청년 지원
청년 창업농 영농정착 지원
- 영농정착 지원금 : 독립 경영 1년차 월 100만원, 2년차 월 90만원, 3년차 월 80만원
- 자격요건 : 만 18세이상~40세 미만, 독립경영 3년 이하(예정자 포함)
- 자금용도 : 농가 경영비 및 일반 가계자금으로 사용 가능
- 지급방법 : 농협 직불카드를 발급하여 바우처 방식으로 금액 지급
- 신청기간 : 당해연도 12월 말 ~ 다음연도 1월 말
- 신청접수 : 농림사업정보시스템(www.agrix.go.kr)
- 사업선정 : 사업계획서, 면접 심사
전라북도
사업명 |
사업내용 |
사업량 |
귀농귀촌처 운영 |
· 전주사무소 및 서울사무소(방배역) 운영 |
1식 |
· 전화 및 내방 상담 |
· 전라북도 귀농귀촌 홍보 및 교육 |
임시거주시설 조성 |
· 귀농인의 집 운영 |
141개소 |
· 체재형 가족실습농장 운영 |
7개소 |
· 체류형농업창업지원센터 운영 |
1개소(고창군) |
귀농귀촌 활성화 사업 |
· 멘토 컨설팅 |
13개 시군 운영 |
· 재능 기부 |
· 마을 이장 간담회 |
· 마을 환영회 |
· 정책 설명회 |
· 동아리 활동 |
· 지역민과 함께하는 실용교육 |
· 주택 및 농지 정보 구축 |
· 화합 행사 등 |
도시와 농촌청년 공동 삼락캠프 |
· 도시 청년과 농촌 청년 간의 교류 |
1식 |
· 공감 교육, 소통 포럼 등 농업·농촌의 이해 |
군산시
면적680km2(농경지 25%, 임야 45%, 대지25%, 기타 5%)
인구270,131명
귀농인구64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흰찰쌀보리, 가지, 밤호박
- 귀농추천품목 : 가지, 토마토
- 행정구역 : 1읍, 10면, 16동
- 교육 인프라 : 대학교4, 고등학교 12, 중학교 19, 초등학교 58, 유치원 64
- 의료 인프라 : 종합병원2, 병원10, 의원 159, 요양병원 10, 치과병원 55, 한방병원 2, 한의원 62, 보건소 1, 보건지소 13, 보건진료소 21
지역특성과 여건
- 군산시 외곽지역으로농촌지역이 1읍 10면이 인접해 있어 도시와 농촌간 접근용이
- 시민의 창의력을 바탕으로 기업하기 좋은 창조 경제 실현 및 첨단 산업 융합의 신성장 동력 확보를 통한 일자리 창출로 새만금 창조도시
지원정책
보조 |
사 업 |
주택 및 농지 임차료 지원 |
내 용 |
세대당 최대 250만원 |
지원조건 |
· 타지역에서 3년이상 거주한자
· 농업경영을 목적으로 가족과 함께 이주한 자
· 농지 10,000㎡이하, 비닐하우스 4,000㎡이하, 주택 임차료 연 500만원 이하
|
사업량 |
4세대 |
보조 |
사 업 |
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|
내 용 |
개소당 최대 500만원 |
지원조건 |
· 타지역에서 3년이상 거주한 자
· 관내로 전입한 날로부터 5년 이내의 귀농귀촌인
· 가족과 함께 농촌으로 이주한 세대주(단독세대 가능)
|
사업량 |
6개소 |
보조 |
사 업 |
농기계 지원사업 |
내 용 |
소형농기계 가격의 50% 지원 |
지원조건 |
군산시 귀농귀촌인(귀농교육 이수자 가점 부여)
|
사업량 |
예산 소진시까지 |
접수 및 문의처
- 군산시 농업기술센터 농촌지원과 063-454-5233
- 군산시 귀농귀촌협의회 063-453-0788
익산시
면적506km2(농경지 51%, 임야 23%, 대지5%, 기타 21%)
인구286,997명
귀농인구146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쌀, 보리, 고구마, 딸기, 수박, 메론, 토마토, 상추, 블루베리, 아로니아
- 귀농추천품목 : 상추, 딸기, 표고버섯
- 행정구역 : 1읍, 14면, 14동
- 교육 인프라 : 대학교3, 고등학교 18, 중학교 26, 초등학교 60, 특수학교 2, 유치원 87
- 의료 인프라 : 종합병원2, 일반병원160, 치과 82, 한의원 75, 요양병원 12
지역특성과 여건
- 백제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문화의 도시
- KTX개통으로 중부권과 호남권을 잇는 교통의 도시
- 국가식품클러스트와 자연재해 없는 천혜의 농업환경도시
지원정책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소득사업 및 생산기반시설 보조 지원 |
내 용 |
저온저장고, 비닐하우스, 농기계, 농기자재 등 소득 및 생산기반 시설 구입 비용 지원
개소당 최대 2,000만원 (자부담:50%) |
지원조건 |
· 세대주가 전입일 기준 1년 이상 익산시 외 지역(농어촌 이외)에 거주
· 전입 3년 이내의 만 65세 이하 귀농인 (가족과 함께 이주)
|
사업량 |
9개소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임대 농업기계 임차료 지원 |
내 용 |
농업기술센터 농기계 임대사업소 농업기계 임차료 50% 지원 |
지원조건 |
· 세대주가 전입일 기준 1년 이상 익산시 외 지역(농어촌 이외)에 거주
· 농업경영체에 등록한 만 65세 이하 귀농인
|
사업량 |
42건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농업장려 수당 지원 |
내 용 |
1년간 월 20~40만원 지급 (단독세대 : 20만원, 2인이상 세대 40만원) |
지원조건 |
· 세대주가 전입일 기준 1년 이상 익산시 외 지역(농어촌 이외)에 거주
· 전입 3년 이내의 만 65세 이하 귀농인 (2018.1.1.이후 이주자)
|
사업량 |
20세대 내외 |
보조 |
사 업 |
신규 귀농귀촌인 이사비용 지원 |
내 용 |
세대당 50만원 지급 |
지원조건 |
· 세대주가 전입일 기준 1년 이상 익산시 외 지역(농어촌 이외)에 거주
· 전입 1년 이내의 만 70세 이하 귀농인
|
사업량 |
100세대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주택 및 농업시설 설계비 지원 |
내 용 |
개소당 200만원 지급 |
지원조건 |
· 세대주가 전입일 기준 1년 이상 익산시 외 지역(농어촌 이외)에 거주
· 전입 3년 이내의 만 65세 이하 귀농인
|
사업량 |
1개소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|
내 용 |
개소당 1,000만원 지급 |
지원조건 |
· 세대주가 전입일 기준 1년 이상 익산시 외 지역(농어촌 이외)에 거주
· 전입 3년 이내의 만 70세 이하 귀농인
|
사업량 |
5개소 |
청년 |
사 업 |
2030 귀농인 영농기반 구축 지원 |
내 용 |
저온저장고, 비닐하우스, 농기계, 농기자재 등 소득 및 생산기반 시설 구입 비용 지원
개소당 최대 2,000만원 (자부담:20%) |
지원조건 |
· 세대주가 전입일 기준 1년 이상 익산시 외 지역(농어촌 이외)에 거주
· 전입 3년 이내의 만 40세 미만 귀농인
|
사업량 |
3개소 |
복지 |
사 업 |
친환경 화장실 설치 |
내 용 |
발효식 친환경 화장실 설치 지원 |
지원조건 |
· 지역 공동경작 및 공동농작업장, 시설하우스 밀집지역, 마을공공시설 주변 등
|
신청 |
농촌지원과 |
접수 및 문의처
- 익산시 농업기술센터 농촌지원과 063-859-4966
정읍시
면적692.84km2(농경지 36%, 임야 46.4%, 대지2.8%, 기타 14.8%)
인구116,006명
귀농인구202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쌀, 한우, 과수, 귀리, 고추, 수박, 토마토, 딸기, 복분자, 베리
- 귀농추천품목 : 특용작물, 과수, 축산
- 행정구역 : 1읍, 14면, 8동
- 교육 인프라 : 대학교1, 고등학교 13, 중학교 19, 초등학교 35, 특수학교 1,유치원 42
- 의료 인프라 : 종합병원1, 일반병원 5, 치과 28, 한의원 28, 요양병원 3
지역특성과 여건
- 전주와 광주의 중간지점에 위치, 호남서해안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
- 경지정리사업, 전업농육성, 농기계 반값공급을 하여 농업 기반시설 강화
- 논과 밭이 각각 반반인 중간형 농업지역으로 작물의 선택 폭이 넓음
지원정책
보조 |
사 업 |
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|
내 용 |
세대당 500만원 (보조:100%) |
지원조건 |
· 전입일 기준 3년 이상 정읍시 외 지역(농어촌 이외)에 거주
· 65세 미만 귀농교육 이수 귀농인
· 2인 이상, 5년 이내 신청
|
사업량 |
10개소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영농정착 지원 |
내 용 |
하우스, 소형농기계 등 소규모 농업용시설 구입 비용 지원(보조:50%)
2030 결혼한 세대 최대 1,000만원 지원(보조:100%)
|
지원조건 |
· 전입일 기준 3년 이상 정읍시 외 지역(농어촌 이외)에 거주
· 65세 미만 귀농교육 이수 귀농인
· 2인 이상, 5년 이내 신청
|
사업량 |
13개소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융자대출 농가주택 신축 설계비 지원 |
내 용 |
농가당 200만원 한도 지원(사업비의 50%)
*정읍시 내에서 농촌지역 이주자 제외 |
지원조건 |
· 타 시 ∙ 도에서 정읍시 농촌지역으로 전입하여 귀농인 주택구입 융자대출사업자로 선정된 자
|
사업량 |
- |
보조 |
사 업 |
농업인 안전공제 농가 부담금 지원 |
내 용 |
농업인 안전공제 보험료의 50%를 정률 지원 |
지원조건 |
· 만 15세~87세 이하 영농에 종사하는 농림업인
|
신청 |
농업정책과 |
접수 및 문의처
- 정읍시 귀농귀촌지원센터 063-533-6789
남원시
면적752.23km2(농경지 23%, 임야 64%, 대지2%, 기타 11%)
인구81,439명
귀농인구196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포도, 파프리카, 상추, 복숭아, 딸기, 사과, 멜론, 고사리
- 귀농추천품목 : 딸기, 상추, 포도, 고사리, 특용작물
- 행정구역 : 1읍, 15면, 7동
- 교육 인프라 : 대학교1, 고등학교 9, 중학교 14, 초등학교 27, 특수학교 1,유치원 26
- 의료 인프라 : 종합병원1, 일반병원 2, 요양병원 4, 일반의원 78, 한의원 20
지역특성과 여건
- 종합병원1, 일반병원 2, 요양병원 4, 일반의원 78, 한의원 20
- 격조 높은문화 : 광한루, 혼불문학관, 심수관도예촌, 국악의성지, 만복사지, 실상사, 김병종 미술관 등
- 살기좋은 인프라 : 실내체육관, 실내수영장, 골프장, 궁도장, 테니스코트. 도서관, 병원, 학교
- 다양한 먹거리 : 지리산 고원흑돈, 추어탕, 산채정식, 민물매운탕
지원정책
보조 |
사 업 |
귀농귀촌인 이사비용 지원 |
내 용 |
가구당 100만원 정액 지급 |
지원조건 |
· 타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 후 남원시 농촌지역으로 전입한지 1년 이내의 귀농귀촌인 세대주
|
사업량 |
예산 소진시까지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영농정착 지원 |
내 용 |
하우스, 소형농기계 등 소규모 농업용시설 구입 비용 지원(보조:50%)
2030 결혼한 세대 최대 1,000만원 지원(보조:100%)
|
지원조건 |
· 전입일 기준 3년 이상 정읍시 외 지역(농어촌 이외)에 거주
· 65세 미만 귀농교육 이수 귀농인
· 2인 이상, 5년 이내 신청
|
사업량 |
13개소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융자대출 농가주택 신축 설계비 지원 |
내 용 |
농가당 200만원 한도 지원(사업비의 50%)
*정읍시 내에서 농촌지역 이주자 제외 |
지원조건 |
· 타 시 ∙ 도에서 정읍시 농촌지역으로 전입하여 귀농인 주택구입 융자대출사업자로 선정된 자
|
사업량 |
- |
보조 |
사 업 |
농업인 안전공제 농가 부담금 지원 |
내 용 |
농업인 안전공제 보험료의 50%를 정률 지원 |
지원조건 |
· 만 15세~87세 이하 영농에 종사하는 농림업인
|
신청 |
농업정책과 |
접수 및 문의처
- 정읍시 귀농귀촌지원센터 063-533-6789
김제시
면적545.02km2(농경지 51%, 임야 21%, 대지4%, 기타 24%)
인구83,803명
귀농인구158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벼, 보리, 시설감자, 포도, 배, 한우, 돼지, 젖소, 양계
- 귀농추천품목 : 딸기, 고추, 포도, 감자, 파프리카, 포도
- 행정구역 : 1읍, 14면, 4동
- 교육 인프라 : 대학교1, 고등학교 10, 중학교 13, 초등학교 36, 유치원 40
- 의료 인프라 : 종합병원2, 일반병원 2, 치과 16, 한의원 19, 요양병원 5
지역특성과 여건
- 새만금의 중심, 혁신도시에 인접한 국가균형발전의 최적지
- 대한민국 대표 곡창지대로 지평선 평야가 유명
- 전북권 T자형 개발축의 중심, 광역 교통망을 갖춘 교통·물류 중심
지원정책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|
내 용 |
세대당 최대 1,000만원 (보조:50%, 자담:50%) |
지원조건 |
· 귀농교육 100시간 이상 이수한 귀농인 중 관내로 전입한 날로부터 5년 이내의 만 65세 이하 세대주
|
사업량 |
10가구 |
보조 |
사 업 |
영농정착 시설 구입 자금 지원(관정, 저온저장고 등) |
내 용 |
· 세대당 최대 1,000만원 (보조:50%, 자담:50%)
|
지원조건 |
· 귀농교육 100시간 이상 이수한 귀농인 중 관내로 전입한 날로부터 5년 이내의 만 65세 이하 세대주
|
사업량 |
예산 소진시까지 |
보조 |
사 업 |
영농정착 소형농기계 구입 자금 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최대 1,000만원 (보조:50%, 자담:50%) |
지원조건 |
· 귀농교육 100시간 이상 이수한 귀농인 중 관내로 전입한 날로부터 5년 이내의 만 65세 이하 세대주
|
사업량 |
예산 소진시까지 |
보조 |
사 업 |
귀농귀촌인 이사비용 지원 |
내 용 |
· 1명 : 10만원, 2명 : 30만원, 3명 50만원 |
지원조건 |
· 김제에 전입한 귀농귀촌인
|
사업량 |
예산 소진시까지 |
복지 |
사 업 |
농업인 안전보험 농가부담금 지원 |
내 용 |
· 농업인 안전공제 보험료의 75%를 정액 지원 |
지원조건 |
· 만 15세~87세 이하 영농에 종사하는 농림업인
· 국비가 지원되는 안전보험 가입자
|
신청 |
농업정책과 |
접수 및 문의처
- 김제시 농업기술센터 농촌지원과 063-540-4522
- 김제시 귀농귀촌협의회 063-548-8800
완주군
면적821.05km2(농경지 15.6%, 임야 72.2%, 대지1.7%, 기타 10.5%)
인구92,171명
귀농인구217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딸기, 양파, 생강, 곶감
- 귀농추천품목 : 딸기, 양파, 생강, 곶감
- 행정구역 : 3읍, 10면
- 교육 인프라 : 대학교3, 고등학교 7, 중학교 12, 초등학교 31, 특수학교 1, 유치원 32
- 의료 인프라 : 일반병원 3, 치과 15 한의원 14, 요양병원 7, 의원 34
지역특성과 여건
- 편리한 접근성, 주변 도시권역 발달 등 노동교류 활성화의 최적입지
- 마을회사, 커뮤니티 비즈니스, 로컬푸드 등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 귀농지원사업 육성
- 로컬푸드 판매망을 통한 소규모 농민의 판로 확보, 두레농장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등 귀농인의 초기정착 용이
지원정책
보조 |
사 업 |
주택 신축/매입/수리 비용 지원 |
내 용 |
세대당 최대 500만원 (자부담:10%) |
지원조건 |
· 타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하다가 가족과 함께 완주군으로 이주한 세대주
·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만 65세 이하 귀농인
|
사업량 |
예산 소진시 |
보조 |
사 업 |
농지 매입/임차 비용 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최대 250만원 (농지매입비의 10%이내, 농지임차비의 50% 이내)
|
지원조건 |
· 타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하다가 가족과 함께 완주군으로 이주한 세대주
·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만 65세 이하 귀농인
|
사업량 |
예산 소진시까지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이사비용 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50만원 지급 |
지원조건 |
· 타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하다가 가족과 함께 완주군으로 이주한 세대주
·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만 65세 이하 귀농인
|
사업량 |
예산 소진시 |
보조 |
사 업 |
소규모 비닐하우스 설치 비용 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최대 960만원 (자부담:40%) |
지원조건 |
· 타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하다가 가족과 함께 완주군으로 이주한 세대주
·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만 65세 이하 귀농인
|
사업량 |
5세대 |
청년 |
사 업 |
청년 창업 공동체 육성 지원 |
내 용 |
· 개소당 1,000만원 이내(자부담:5%) |
지원조건 |
· 완주군에 거주하는 청년 3인 이상 공동체
|
사업량 |
5~8개소 |
청년 |
사 업 |
공동체 청년 인턴 채용 인건비 지원 |
내 용 |
· 개소당 월 187만원(보조:150만원,자부담:37만원) |
지원조건 |
· 완주군 거주 만 19~39세 미취업 청년
|
사업량 |
12명 |
복지 |
사 업 |
전입 지원금(지역상품권) 지원 |
내 용 |
· 1인 전입 : 5만원권, 2~3인 전입 : 10만원권, 4인 이상 전입 : 20만원권
· 학생 전입 : 총 30만원 (전입신고 1개월 후 : 20만원, 1년 유지 시 : 10만원)
|
지원조건 |
· 완주군 내에 주소를 둔 세대
|
신청 |
인구정책팀 |
복지 |
사 업 |
출산장려금 지원 |
내 용 |
·첫째 : 50만원, 둘째 : 100만원, 3자녀 이상 : 600만원
|
지원조건 |
· 부모중 한명은 출생일 기준 5년전부터, 다른 한명은 신생아 출생전부터 현재까지 완주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중인 가정(2020년1월1일 이후 출생아부터)
|
신청 |
보건소 건강증진팀 |
복지 |
사 업 |
산모, 신생아 건강관리사 비용 지원 |
내 용 |
·서비스 비용의 80% 지원 (소득기준 50%이하 산모 : 전액 지원)
|
지원조건 |
· 부모중 한명은 출생일 기준 5년전부터, 다른 한명은 신생아 출생전부터 현재까지 완주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중인 가정(2020년1월1일 이후 출생아부터)
|
신청 |
보건소 건강증진팀 |
접수 및 문의처
- 완주군청 농업축산과 063-290-2474~5
- 완주군 귀농귀촌지원센터 063-261-3730
진안군
면적789km2(농경지 11%, 임야 78%, 대지1%, 기타 10%)
인구25,697명
귀농인구135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인삼, 고추, 사과, 오미자, 수박, 고구마, 표고버섯
- 귀농추천품목 : 고추, 고구마, 깻잎, 상추
- 행정구역 : 1읍, 10면
- 교육 인프라 : 고등학교 5, 중학교 10, 초등학교 13, 유치원 20(어린이집 포함)
- 의료 인프라 : 의료원 1, 일반병원 13, 치과 4, 한의원 5, 요양병원 1
지역특성과 여건
- 전라북도 동부산악권에 위치한 평균 해발 350m 이상의 산간 고원지대
- 섬진강의 발원지 ‘데미샘’이 있는 희귀명산 ‘마이산’과 ‘용담호’의 고장
- 대전-진주간, 익산-장수간 고속도로 개통및 진안IC가 생기면서 전국 어디서나 2-3시간 내에 접근 가능한 교통의 요충지
지원정책
보조 |
사 업 |
소규모 마을조성 사업 |
내 용 |
· 조성 마을의 진입로, 전기시설 등 기반시설사업 지원
· 4,000만원~1억8,000만원
|
지원조건 |
· 주택단지 조성 후 2~19세대 동반입주자
|
사업량 |
건설교통과 농촌재생팀 |
보조 |
사 업 |
귀농귀촌인 집들이 비용 지원 |
내 용 |
· 가구당 30만원 지급
|
지원조건 |
· 진안군으로 전입한 귀농귀촌인
|
사업량 |
예산 소진시까지 |
보조 |
사 업 |
행복버스, 행복택시 운영 |
내 용 |
· 버스 1,000원, 읍내택시 100원 이용 |
지원조건 |
·진안군민
|
문의 |
건설교통과 교통행정팀 |
복지 |
사 업 |
전입장려금 지원 |
내 용 |
· 전입 6개월 후 : 10만원, 1년6개월 후 : 10만원 (상품권 총 20만원) 지급 |
지원조건 |
· 1년 이상 타지역에서 거주하다가 진안군으로 전입한 자
|
문의 |
기획감사실 인구정책팀 |
복지 |
사 업 |
출산장려금 지원 |
내 용 |
· 첫째:220만원, 둘째:220만원, 셋째 이상:1,000만원 지급 |
지원조건 |
· 신생아 출산일 기준 1년 전부터 관내 주민등록을 둔 가정의 부모
|
사업량 |
보건소 건강증진팀 |
접수 및 문의처
- 진안군청 기획감사실 : 063-430-2292
- 진안군 귀농귀촌종합지원센터 : 063-433-0243
무주군
면적631.87km2(농경지 11%, 임야 81%, 대지0.9%, 기타 7.1%)
인구24,271명
귀농인구110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사과, 포도, 복숭아, 인삼, 천마
- 귀농추천품목 : 딸기, 복숭아
- 행정구역 : 1읍, 5면
- 교육 인프라 : 고등학교 5, 중학교 6, 초등학교 10
- 의료 인프라 : 보건의료원 1, 일반병원 13, 치과 4, 한의원 9, 요양병원 1
지역특성과 여건
- 덕유산국립공원, 태권도원 등 관광 자원이 풍부
- 서울, 부산 등 전국 어디든 2시간 대 도달 가능
- 4년 연속 정부지정 최우수 축제인 ‘반딧불축제’ 해마다 개최
지원정책
보조 |
사 업 |
청장년 귀농인 영농 지원 (농업용 기자재, 퇴비, 비료 등 구입비용) |
내 용 |
· 개소당 500만원 (자부담:10%)
|
지원조건 |
· 무주군으로 전입한 지 5년 이내, 영농경력 5년 이내의 귀농인(만 19세~50세 이하)
|
사업량 |
10개소 |
보조 |
사 업 |
고령 은퇴도시민 영농 및 생활 지원 (소모성 영농기자재, 소모성 집기류 등 구입비용) |
내 용 |
· 개소당 150만원 (자부담:10%)
|
지원조건 |
· 무주군으로 전입한 지 3년 이내의 귀농귀촌인(만 65세 이상)
|
사업량 |
10개소 |
보조 |
사 업 |
농기계 구입 비용 지원 [친환경농업팀] |
내 용 |
· 과수전용 : 2,000만원/1대(자부담:50%), 중소형 : 300만원/1대(자부담:50%) |
지원조건 |
·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관내 농업인
|
사업량 |
과수전용 : 800대, 중소형 400대 |
보조 |
사 업 |
박스형 농산물 저온저장고 설치 비용 지원 [원예특작팀] |
내 용 |
· 3평형, 5평형, 10평형 (자부담:60%) |
지원조건 |
·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관내 농업인(과수, 원예, 특용작물에 한함)
|
사업량 |
533㎡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농가주택 수리비(리모델링 및 보일러 교체 등) 지원 |
내 용 |
· 개소당 500만원 (자부담:10%) |
지원조건 |
· 무주군으로 전입한 지 3년 이내의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귀농인
|
사업량 |
10개소 |
보조 |
사 업 |
귀농귀촌인 건축 설계비용 지원 |
내 용 |
· 개소당 150만원 (보조:100%) |
지원조건 |
· 무주군으로 전입한 지 3년 이내의 귀농귀촌인
|
사업량 |
30개소 |
보조 |
사 업 |
귀농귀촌인 이사비용 지원 [무주군귀농귀촌협의회] |
내 용 |
· 개소당 50만원 (보조:100%) |
지원조건 |
· 무주군으로 이사한지 3개월 이내의 귀농귀촌협의회원 (2020년1월1일 이후에 한함)
|
사업량 |
10개소 |
보조 |
사 업 |
귀농귀촌인 집들이 비용 지원 |
내 용 |
· 개소당 30만원(보조:100%) |
지원조건 |
· 무주군으로 전입한 귀농귀촌인 (2019년1월1일 이후에 한함)
|
사업량 |
1회 |
청년 |
사 업 |
청년창업농 주거환경 개선 지원 |
내 용 |
· 개소당 1,000만원(자부담:50%) |
지원조건 |
· 만 18세 이상~ 만 45세 미만 청년창업농(지원사업 선발자)
|
사업량 |
1개소 |
청년 |
사 업 |
쳥년창업농 영농기반(농지, 재배시설) 임차비용 지원 [농정기획팀] |
내 용 |
· 연 500만원 이내의 임차비용에 한하여 50% 지원 |
지원조건 |
· 만 18세 이상~ 만 45세 미만 청년창업농(지원사업 선발자)
|
사업량 |
2명 |
접수 및 문의처
- 무주군 농업기술센터 농업지원과 : 063-320-2851~2
- 무주군 귀농귀촌협의회 : 063-323-1252~3
장수군
면적533.27km2(전 5.8%, 답 8.8%, 임야 75%, 대지1.1%, 기타 9.3%)
인구22,382명
귀농인구85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사과, 오미자, 토마토, 버섯, 한우
- 귀농추천품목 : 사과, 오미자, 버섯
- 행정구역 : 1읍, 6면
- 교육 인프라 : 고등학교 5, 중학교 7, 초등학교 8, 어린이집 5
- 의료 인프라 : 의원 1, 치과 3, 한의원 1
지역특성과 여건
- 38선을 경계 밑으로 남한의 좌우대칭의 중심적 요충지
- 해발 400~600m의 고랭지로 과일, 엽채류의 적지
지원정책
보조 |
사 업 |
귀농귀촌인 빈집 수리비 지원 (보일러교체,지붕,부엌,화장실 개량 등) |
내 용 |
· 1인 가구 : 500만원, 2인 이상 가구 : 1,000만원
|
지원조건 |
· 타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 후 장수군으로 이주한 5년 이내의 세대주
|
사업량 |
10개소 |
보조 |
사 업 |
귀농귀촌인 주택신축 설계비 지원 |
내 용 |
· 가구당 100만원 이내에서 주택 신축 설계비 지원 *주택수리비 지원자 제외
|
지원조건 |
· 타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 후 장수군으로 이주한 5년 이내의 세대주
|
사업량 |
15개소 |
보조 |
사 업 |
소규모 삶터 기반조성 지원 |
내 용 |
· 가구당 1,500만원~2,500만원 이내(단지 규모에 따라 차등 지원)
· 상·하수도, 단지 내 도로포장, 가로등 등 입주자 공동이용시설에 한함 |
지원조건 |
· 소규모 삶터 조성 지구 내에 귀농귀촌인 4가구 이상 확보
· 입주예정장 중 70% 이상이 타지역에 1년 이상 거주지를 두었던 자
|
사업량 |
10가구 |
융자 |
사 업 |
농촌소득 융자 지원 |
내 용 |
· 개인 : 5,000만원, 생산자 단체(법인) : 11,000만원
· 연 1% 금리, 3년 거치 7년 균등분할 상환
|
지원조건 |
· 소규모 삶터 조성 지구 내에 귀농귀촌인 4가구 이상 확보
· 입주예정장 중 70% 이상이 타지역에 1년 이상 거주지를 두었던 자
|
사업량 |
80명 |
복지 |
사 업 |
결혼 축하금 지급 |
내 용 |
· 총 1,000만원(3년분할) 지급 |
지원조건 |
· 혼인 후 장수군에 거주하는 부부 중, 최소 1명이 혼인신고일 기준 2년 전부터 장수군에 주민등록을 둔 경우
· 만 19세~49세 이하 남녀
|
신청 |
보건사업과 보건행정팀 |
복지 |
사 업 |
출산장려금 지원 |
내 용 |
· 첫째:300만원,둘째:500만원,셋째:1,000만원,넷째:1,200만원,다섯째이상:1,500만원 |
지원조건 |
· 출산일 기준 1년 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장수군에 거주중인 가정
|
사업량 |
보건사업과 보건행정팀 |
복지 |
사 업 |
아동수당 지원 |
내 용 |
· 소득과 관계없이 해당 연령 아동 월 10만원 지급 |
지원조건 |
· 관내 0세 ~ 만 6세 미만 아동
|
사업량 |
주민복지실 드림스타트팀 |
복지 |
사 업 |
대학 신입생 반값 등록금 지원 |
내 용 |
· 1인당 최대 400만원 이내 지급 (타 장학금을 제외한 본인부담금 반값 지원) |
지원조건 |
· 보호자의 주소가 2년 이상 장수군으로 등록
|
사업량 |
행정지원과 평생교육팀 |
복지 |
사 업 |
대학 비진학 창업, 취업 학원비 지원 |
내 용 |
· 학원등록비 최대 3개월분 최대 100만원 한도 |
지원조건 |
· 대학을 비진학하고 창업 또는 취업을 위해 학원을 수강하는 학생에게 지급 보호자의 주소가 2년 이상 장수군으로 등록
|
사업량 |
행정지원과 평생교육팀 |
접수 및 문의처
- 장수군청 일자리경제실 : 063-350-2211
- 장수군 귀농귀촌종합지원센터 : 063-353-5340
임실군
면적597km2(농경지 18.1%, 임야 69.9%, 기타 12.0%)
인구30,072명
귀농인구107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고추, 한우, 치즈, 버섯, 복숭아, 토마토, 부추, 오이, 블루베리
- 귀농추천품목 : 토마토, 고추, 부추, 버섯, 블루베리
- 행정구역 : 1읍, 11면
- 교육 인프라 : 대학교 1, 고등학교 3, 중학교 9, 초등학교 15, 유치원 15
- 의료 인프라 : 의료원1, 일반병원 14, 치과 3, 한의원 3, 요양병원 1
지역특성과 여건
- 3·1운동 민족대표와 국난시마다 의병장을 배출하고 유서깊은 명승고적이 산재한 예와 의를 숭상하는 충효의 고장
- 전북권 중심부에 위치한 전주근린생활권으로 교통이 잘 발달되고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발전 잠재력이 풍부한 고장
- 예로부터 인심이 넉넉하고 멋과 맛을 자랑하는 전통문화를 간직한 열매의 고장
지원정책
교육 |
사 업 |
농기계 기술교육 지원 |
내 용 |
· 관리기, 트랙터, 경운기 등 실생활 농기계 기술 교육 비용 일부 지원
|
지원조건 |
· 임실군으로 전입한 귀농귀촌인
|
사업량 |
- |
교육 |
사 업 |
귀농인 교육 훈련비 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50만원 (보조:100%)
|
지원조건 |
· 임실군으로 전입한 귀농귀촌인
|
사업량 |
6가구 |
보조 |
사 업 |
소득사업 및 생산 기반시설 융자 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3천만원한도 융자 • 연금리 1.5% • 1년 거치 5년 균등 상환 |
지원조건 |
· 농림수산업에 1년 이상 종사 중인 귀농인
|
사업량 |
사업비 소진시까지 |
보조 |
사 업 |
소득사업 및 생산기반시설 보조 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최대 1천만원 (보조:50%, 자부담:50%)
|
지원조건 |
· 저온저장고, 비닐하우스 등 소득 및 생산기반 시설 설치 시 지원
· 관내로 전입한 날로부터 5년 이내의 귀농인
|
사업량 |
25가구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정착 지원금 |
내 용 |
· 세대당 200만원 (보조:100%) |
지원조건 |
· 전입 후 3년이 경과한 귀농인(신청자격을 갖춘 후 1년 이내 신청)
|
사업량 |
75가구 |
보조 |
사 업 |
주택구입 신축 및 수리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최대 500만원 (보조:67%, 자담:33%) |
지원조건 |
· 관내로 전입한 날로부터 5년 이내의 귀농귀촌인
|
사업량 |
40가구 |
복지 |
사 업 |
출산 장려금지원 |
내 용 |
· 첫째 : 100만원, 둘째 : 300만원, 셋째 : 500만원, 넷째 : 800만원 |
지원조건 |
· 출생일 기준으로 부 또는 모가 1년 전부터 관내에 주민등록을 둔 경우
|
신청 |
보건사업과 보건행정팀 |
접수 및 문의처
- 임실군청 농촌활력과 : 063-640-2425
- 임실군 귀농귀촌지원센터 : 063-642-2236
순창군
면적495.92km2(농경지 22%, 임야 66%, 대지1.6%, 기타 10.4%)
인구28,311명
귀농인구184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장류, 블루베리, 오미자, 매실, 꾸지뽕, 참두릅, 복분자, 쌈채소
- 귀농추천품목 : 블루베리, 딸기, 쌈채소, 오미자, 복분자
- 행정구역 : 1읍, 10면
- 교육 인프라 : 고등학교 3, 중학교 7, 초등학교 15, 유치원 15
- 의료 인프라 : 일반병원 1, 의원 1, 치과 1, 한의원 1, 요양병원 2
지역특성과 여건
- 광주와 40km와 전주 55km 30분 이내로 전원생활이 용이한 지역
- 뉴욕타임지가 인정한 장수고올과 세계적인 장류 브랜드가 있어 장류기술습득 용이
- 장류의 고장으로 경관이 잘 보존된 청정 자연환경
지원정책
보조 |
사 업 |
귀농귀촌인 이사 및 집들이 비용 지원 |
내 용 |
· 1인 세대 : 50만원, 2인 이상 세대 : 100만원(이사+집들이 :150만원)
|
지원조건 |
· 관내로 전입한 귀농귀촌인
|
사업량 |
200세대 |
교육 |
사 업 |
귀농인 소득사업 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최대 1,000만원 (보조:50%, 자부담:50%)
|
지원조건 |
· 저온저장고, 비닐하우스 등 소득 및 생산기반 시설 설치 시 지원
· 관내로 전입한 귀농인
|
사업량 |
40세대 |
보조 |
사 업 |
귀농귀촌인 주택 수리 및 신축(설계) 비용 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최대 500만원, 신축시 최대 550만원 (자부담:30%) |
지원조건 |
· 관내로 전입한 귀농귀촌인
|
사업량 |
60세대 |
청년 |
사 업 |
청년 실습 농장 지원 |
내 용 |
· 실습비용 월 60~80만원 지급(6개월), 농자재 일부지원, 농지대여
|
지원조건 |
· 관내로 전입한지 5년 이내의 만 49세 이하 청년 귀농인
|
사업량 |
20명 이내 |
청년 |
사 업 |
도시와 농촌청년 공동 삼락캠프 |
내 용 |
· 청년 포럼, 시골생활 체험, 공동체인의 밤 행사 |
지원조건 |
· 20~30대 도시와 농촌 청년 100명
|
문의 |
063-650-5173 |
접수 및 문의처
- 순창군 농업기술센터 농축산과 : 063-650-5174
- 순창군 귀농귀촌종합지원센터 : 063-653-5421
고창군
면적607.714km2(농경지 38.8%, 임야 43.6%, 대지2.6%, 기타 14.9%)
인구55,604명
귀농인구318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복분자, 수박, 고추, 땅콩, 멜론, 장어
- 귀농추천품목 : 복분자, 블루베리, 수박, 고추, 땅콩, 멜론, 딸기
- 행정구역 : 1읍, 13면
- 교육 인프라 : 대학교 1, 고등학교 6, 중학교 14, 초등학교 21
- 의료 인프라 : 종합병원 1, 일반병원 5, 의원 53
지역특성과 여건
- 고인돌, 판소리 등 세계적인 문화유산과 동학농민혁명을 꽃피운 문화예술 도시
- 고창갯벌·운곡람사르습지,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등 자연생태도시
- 서해안고속도로, 고창-담양간 고속도로, 국가어항 등 교통·항만·물류 요충지
- 문화·예술, 관광·스포츠 인프라가 잘 갖춰진 삶의 질이 높은 명품휴양도시
지원정책
보조 |
사 업 |
소규모 귀농귀촌 전입 가구 기반 조성 |
내 용 |
· 조성 마을의 진입로, 전기시설 등 기반시설사업 지원
· 1억만원
|
지원조건 |
· 소규모 귀농귀촌 공동체(5~10세대) 거주지
· 전입 2년 미만 또는 예비 귀농인
|
사업량 |
1개소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영농정착금 지원 |
내 용 |
· 1인당 100만원 지급 (3년 분할지원:1년차 50%, 2년차 25%, 3년차 25%)
|
지원조건 |
· 타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하다가 고창군으로 전입한 자
· 농업경영을 목적으로 귀농한 만 60세 이하 세대주
|
사업량 |
예산 소진시까지 |
여성 |
사 업 |
여성농업인 농작업 편의장비 지원 |
내 용 |
· 인당 최대 50만원 |
지원조건 |
· 농지 소유 면적이 5ha 미만인 농어촌 지역 여성 농업인(경영주)
|
문의 |
농업정책팀 |
복지 |
사 업 |
임대농기계 운송 서비스 |
내 용 |
· 임대사업소에서 각 마을 회관까지 임대농기계 운송
|
지원조건 |
· 고창군 농기계 임대사업소에서 농기계를 임대한 농업인
|
문의 |
농기계팀 |
복지 |
사 업 |
생생 농업인 헬스케어 지원 |
내 용 |
· 안마의자와 발안마기(+혈압계) 중 택 1 |
지원조건 |
· 읍면지역에 소재한 마을
|
문의 |
농업정책팀 |
접수 및 문의처
- 고창군 농업기술센터 농촌개발과 : 063-560-8826, 8817
부안군
면적493.35km2(농경지 40%, 임야 40.6%, 대지2.6%, 기타 16.8%)
인구53,295명
귀농인구158명 (18'기준)
기본현황
- 주요농특산물 : 벼, 오디, 감자, 수박, 마늘, 양파, 고추, 무, 배추
- 귀농추천품목 : 오디, 감자, 딸기, 특용작물
- 행정구역 : 1읍, 12면
- 교육 인프라 : 고등학교 7, 중학교 13, 초등학교 23, 어린이집 24
- 의료 인프라 : 종합병원 1, 일반병원 5, 의원 28, 치과 14, 한의원 18, 요양병원 2
지역특성과 여건
- 산, 바다, 들이 함께 있어 자연적 조건이 뛰어난 고장
- 좋은 교통편(서울까지 2시간 30분)
- 개발 잠재력이 큰 고장
지원정책
보조 |
사 업 |
귀농귀촌인 이사비용 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50만원 정액
|
지원조건 |
· 부안군으로 전입한 2인 이상의 귀농귀촌인 세대
|
사업량 |
75세대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정착자금 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100만원 정액
|
지원조건 |
· 부안군으로 전입한 2인 이상의 귀농인 세대
|
사업량 |
25세대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농가주택 수리비용 지원 |
내 용 |
· 세대당 최대 500만원 |
지원조건 |
· 부안군으로 전입한 지 5년 이내의 귀농인
|
문의 |
12세대 |
보조 |
사 업 |
소규모 비닐하우스 설치비용 지원 |
내 용 |
· -
|
지원조건 |
· 부안군으로 전입한 지 5년 이내의 귀농인
|
사업량 |
4세대 |
보조 |
사 업 |
귀농인 중소형농기계 구입비용 지원 |
내 용 |
· 중소형농기계 구입 비용 50% 지원(500만원 한도) |
지원조건 |
· 부안군으로 전입한 지 5년 이내의 귀농인
|
사업량 |
10세대 |
복지 |
사 업 |
대학생 등금금 지원 |
내 용 |
· 학기당 등록금 50% 지원 (대학교 1~3학년 학생) |
지원조건 |
· 부안에 주소를 둔 대학생
· 관내 고등학교를 졸업한 부,모가 1년간 부안에 주소를 두거나 관외 고등학교를 졸업한 부,모는 3년간 부안에 주소지를 둬야함
|
사업량 |
877명 |
복지 |
사 업 |
출산장려금 지원 |
내 용 |
· 첫째 : 300만원, 둘쨰 : 500만원, 셋째이상 : 1,000만원 |
지원조건 |
· 부안에 주소를 둔 산모
|
신청 |
건강증진팀 / 063-580-3779 |
복지 |
사 업 |
전입 장려 지원 |
내 용 |
· 전입 6개월 경과 : 20만원 지급, 전입 2년 경과 : 30만워 추가 지급 |
지원조건 |
· 부안군 전입세대
|
신청 |
인구정책팀 / 063-580-4627 |
복지 |
사 업 |
신혼부부 결혼 장려금 |
내 용 |
· 부부당 500만원 지급 |
지원조건 |
· 부안군 신혼부부
|
신청 |
인구정책팀 / 063-580-4627 |
접수 및 문의처
- 부안군 농업기술센터 농촌지원과 : 063-580-3830~2
- 부안군 귀농귀촌지원센터 : 063-580-3840